
포천시와 포천시의회가 창설될 드론작전사령부의 위치가 포천지역으로 언급되자 긴급 간담회를 열고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포천시에 따르면 군에서 추진 중인 북한 무인기 도발 대응 및 전략적·작전적 수준의 감시, 정찰, 타격, 심리전, 전자기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작전사령부령’이 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이에 따라 이 같은 임무와 작전을 수행할 드론작전사령부가 창설될 예정이다.
하지만 드론작전사령부의 창설 위치가 포천시 소재 옛 6공병여단 부지로 지속적으로 언급되면서 지역주민들의 우려가 커지자 포천시와 포천시의회는 21일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백영현 포천시장을 비롯해 서과석 포천시의회의장 및 시의원들은 군의 임무수행을 위한 드론작전사령부의 창설 필요성은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내 최대 미군 실사격장인 영평사격장, 최근 한미 합동 화력격멸훈련이 개최된 승진과학화 훈련장 등 전국 최대 군사격장이 입지한 포천시에 창설하는 것은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70여 년간 국방안보를 위해 희생하고 있는 포천시민의 애환을 군이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다.
포천시는 군의 주요 작전 요충지로 6군단이 해체되기 전까지 전국 유일 2개 군단의 주둔지였다.
특히 지역주민에게 각종 소음 및 재산권 피해를 주고 있는 전국 최대규모의 주요 군사격장 면적만 50.5㎢(1,530만평)에 달한다.
포천시의회는 국방혁신 4.0 계획에 따라 창설부지로 검토할 군 유휴지가 많은 상황에서 굳이 도심권 내에 있는 6공병여단 부지를 드론작전사령부로 활용하려 한다는 것은 군의 입장만 고려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지난 19일 드론작전사령부 주둔 반대 특별위원회를 구성한 포천시의회는 주역주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지역내 또다시 군부대가 들어설 경우 시민과 함께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