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

  • 맑음동두천 -6.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4.6℃
  • 구름많음대전 -2.8℃
  • 흐림대구 -2.9℃
  • 구름많음울산 -1.2℃
  • 흐림광주 -1.4℃
  • 구름많음부산 -0.5℃
  • 흐림고창 -3.3℃
  • 흐림제주 3.3℃
  • 맑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5.9℃
  • 구름많음금산 -5.7℃
  • 흐림강진군 -1.0℃
  • 흐림경주시 -2.5℃
  • 구름많음거제 -0.4℃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영화 ‘극한 직업’,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창의인재 동반사업’ 선정

형사들이 영업하는 대박 치킨집 스토리
마약 수사팀 형사들이 치킨집 사장님이 된 사연 공개…형사들의 위장수사를 유쾌하게 그려낸 새로운 시도
다양한 지원 사업에도 선정되어 가능성 인정받은 작품…중국 진출도 앞두고 있어

(뉴스와이어)  영화 ‘극한직업’이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추진하는 ‘콘텐츠 창의인재 동반사업’에 선정됐다.


마약 수사팀 형사들과 치킨집 사장님 간의 연결고리가 무엇이 있을까. 전혀 접점이 없어 보이는 두 요소를 ‘위장 수사’로 풀어낸 작품이 있다. 마약 수사팀 형사들이 위장수사를 위해 치킨집을 차린다는 이야기의 영화 ‘극한 직업’이 바로 그것이다. 기존 수사물이 가지는 박진감 넘치는 전개에 치킨집이 뜻밖에 대박이 나면서 벌어지는 유쾌한 에피소드들은 덤이다.


이를 시작으로 180억 규모 한·중 공동 투자의 스토리 개발 프로젝트에도 선정돼 해외 진출까지 예정되어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의 기대까지 한 몸에 받고 있는 ‘극한 직업’은 신인 창작자 문충일 작가의 아이디어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영화 스텝으로 일하면서 창작에 관심을 가졌다는 그는 그간 현장에서 직접 보고 느낀 노하우를 바탕으로 ‘극한 직업’의 시나리오를 써내려가기 시작했다.


처음 ‘극한 직업’은 지금과는 사뭇 달랐다. 처음에는 수사하는 형사들을 소재로 한 어두운 분위기로 시나리오를 쓰고 있었지만, 도중에 슬럼프가 찾아오게 되었다고. 그러나 예기치 못한 슬럼프의 돌파구는 일상 속에 있었다.


문충일 작가는 “창작 과정에서 지쳤을 때 스몰 타임 크록스라는 영화를 본 게 전환점이 되었다. 이 영화를 보고 지금의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며 “여기에 자영업자와 강력반 형사들이 겪는 노동의 강도가 주관적으로 본다면 비슷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더해 시나리오로 풀어나가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극한 직업’은 작가의 수많은 수정과정 끝에 탄생했다.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기록해 놓았던 20여 장의 트리트먼트(시나리오의 형식을 맞추지 않고 작가가 알아보기 쉽도록 신이나 시퀀스 단위로 줄거리를 작성하는 것)를 다듬으며 수많은 수정 과정을 거쳤다. 특히 중반부와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다양한 방향을 염두에 두고 여러 버전의 이야기를 만들기도 했다.


작가는 “이런 창작 과정이 가장 힘들었지만 그만큼 보람찼다. 계속해서 장편 시나리오를 쓰고 더불어 단편 영화의 연출까지 준비하고 있다”며 “이후에 쓰게 될 시나리오는 아마 코믹 납치극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처음 서울에 올라온 두 주인공이 도시 고속도로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일을 풀어내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문 작가는 “극한 직업을 창작하면서 자신의 글을 냉정하게 돌아보고 또 계속해서 글을 쓸 수 있는 용기를 얻었다”며 “극한 직업이 관객들에게 삶을 돌아보고 다시 살아갈 원동력이 되길 기대해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콘진의 ‘콘텐츠 창의인재 동반사업’은 미래를 꿈꾸는 젊은 콘텐츠 창작가 육성을 목표로 추진하는 현장 밀착형 숙성 교육이다. 콘텐츠 전문가를 직접 만나는 멘토링 기회는 물론 창작 지원금, 네트워킹, 피칭기회 등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6년 창의인재양성사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웹사이트: http://www.kocca.kr


교육/문화

더보기
경민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 국외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 운영
경민대학교(총장 홍지연)는 글로벌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국외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는 대학생들이 재학 중 전공과 연계된 산업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게 하고, 산업 현장의 적응력과 취업 경쟁력을 높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전공 직무 인재를 양성하고자 시행 중인 교과과정이다. 경민대학교는 학생들의 취업 경쟁력 강화와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를 장려하고자 현장실습지원센터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협약을 맺어 매년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를 진행하고 있다. 또 현장실습지원센터에는 별도의 국내·외 전담 인력을 배정하고 있다. 학생들 상담과 기업 설명회 유치 등을 통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일본에서 국외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 실습을 진행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경민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는 국내 기업을 넘어 해외 산업체와 다양한 교류와 협약을 통해 국외 표준현장실습학기제(Co-op)의 어려움을 극복해 내고 성과를 이루고 있다. 경민대학교는 현재 일본 오키나와 Kanucha Bay Resort와 협약을 바탕으로 카페베이커리과

정치/경제

더보기
김성원 의원, “기술유출 뿌리 뽑는다” 산업기술보호법 개정안 대표발의
산업기술 유출 및 침해에 관한 처벌 기준 및 관리 체계가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동두천양주연천을)이 23일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그동안 솜방망이 수준이라고 지적받아온 기술유출·침해 처벌 기준을 대폭 강화한다. 구체적으로 산업기술 해외유출범죄의 가중처벌 대상을 목적범에서 고의범으로 확대하고 해외유출범죄 벌금을 기존 15억원 이하에서 국가핵심기술은 65억원 이하, 산업기술은 30억원 이하로 상향하도록 했다. 고의적인 산업기술침해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상한을 3배에서 5배로 상향한다. 규제기관의 관리·감독 권한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국가핵심기술 자격 판정을 신청하도록 통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핵심기술 보유 확인제 및 보유기관 등록제를 도입한다. 국가핵심기술의 수출 및 해외인수·합병 승인 또는 신고 시 부과된 조건 이행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한다. 이외에도 국가핵심기술을 지정된 장소 밖으로 무단유출하거나 기술유출을 소개·알선·유인하는 행위도 침해행위에 포함하는 등 산업기술 유출 및 침해행위 기준을 확대하는 내용이 개정안에 담겼다. 김성원 의원은